우리은하에서 발견된 블랙홀

우리 은하의 중심부에는 궁수자리(Sagittarius)라는 별들이 모여있는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곳에서는 태양 질량의 400만 배나 되는 초거대 블랙홀이 발견되었습니다.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'네이처' 최신호에 게재되었는데요. 지금까지 알려진 은하 중 가장 큰 규모인 ‘궁수자리 A*’ 중심부에 위치한 거대질량 블랙홀 주변 물질 분포 및 운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입니다.

블랙홀은 어떻게 생성되는 건가요?

우주의 모든 천체는 중력이라는 힘을 가지고 있고, 우주 공간 속 물체 사이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무거운 천체일수록 빠르게 회전하게 됩니다. 이렇게 빠른 속도로 회전하던 천체가 결국 붕괴되어 밀도가 매우 높은 상태가 되면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강한 중력을 가진 천체가 되는데 이것이 바로 블랙홀입니다.

이번에 발견된 블랙홀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?

지금까지 관측된 대부분의 블랙홀은 크기가 작고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, 궁수자리 A* 는 비교적 크고 둥근 형태이며 중앙 팽대부라고 불리는 거대한 부분 주위를 고리모양 가스행성이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. 또한 고해상도 전파관측을 통해 1억 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이례적으로 많은 양의 X선을 방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앞으로의 연구계획은 어떻게 되나요?

한국천문연구원은 앞으로도 첨단전파간섭계중력파관측소(라이고·LIGO) 한국우주전파관측망(KVN)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천문관측 인프라를 활용해 인류에게 최초로 블랙홀 모습을 보여준 사건지평선망원경(EHT) 국제공동연구팀과 협력하며 후속 연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.